치즈는 대중적으로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한 식재로 인식된다. '같은 무게의 우유에 비해 단백질은 7배, 칼슘은 5배'등의 문구로 홍보되기도 하나, 우유는 수분이 80-90%이므로 과장된 말이다. 이렇게 계산하면 전지분유에도 우유의 8배가 넘는 단백질이 들어 있다. 유장에는 칼슘 흡수를 도와주는 성분이 있어서, 유장을 제거한 치즈는 칼슘 함량에 비해 흡수율이 떨어지기도 한다. 이 밖에 굴처럼 정력에 좋은 음식이라고 한다.
한국에서 가장 흔히 먹는 치즈인 소위 '아메리칸 슬라이스 치즈 종류의 치즈는 한 조각당 대개 20~100 칼로리이다. 또 같은 치즈라 할지라도 종류나 숙성 상태, 첨가물, 원유(우유, 염소젖, 양젖, 물소젖)의 차이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치즈는 유당 함량이 적어서 동아시아인에게 가장 알맞은 식품이다. 유럽인/아메리카인/중동인/남아시아인/중앙아시아인은 유당을 소화할 수 있는 효소가 체내에 더 많은 편이지만 동아시아인은 젖먹이일 때는 이러한 효소가 있다가 성인이 되면 사라지는 유당불내증으로 바뀌는 사람이 많다.
한국의 성인 중 유당불내증 보유자는 약 70%~80% 남짓이다. 우유를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 케이스가 특이한 것이다. 대부분 성인들에게 우유는 오히려 소화가 안 되어 건강에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데, 치즈는 발효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유당의 상당량이 유산과 가스로 변해 날아가 없어진다. 에멘탈 같은 유럽식 발효 치즈에 송송 뚫린 구멍이 바로 이 가스의 흔적이다. 치즈에 유당이 전혀 없지야 않지만 우유에 비해서는 매우 적다. 발효를 오래 시킬수록 유당은 더 적어진다. 그러니까 딱딱한 치즈류에는 부드러운 치즈류보다 유당이 더 적다. 동아시아인에게 치즈는 유당이라는 문제를 발효라는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회피하는 동시에 우유의 영양소를 더욱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해주는 음식이다. 많은 의사들은 우유에 대해 의견이 갈리지만 치즈에 대해서는 영양학적으로 호평이 많다.
다만 유당이 적을 뿐이지 전혀 없지는 않으므로 유당불내증인 사람이 치즈를 과도하게 많이 먹으면 우유와 마찬가지로 배탈이 날 수도 있다. 지방 및 나트륨 함량도 덩달아 우유에 비해 매우 높아지니 너무 많이 먹으면 당연히 역효과가 날 수밖에 없다. 한편, 치즈의 포화지방이 L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 의외로 치즈 많이 먹어도 콜레스테롤이 올라가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다.
유제품 및 치즈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먹을 수 없다. 증상은 아토피나 알러지성 비염이 가장 흔하게 보인다. 덤으로 보통은 아니지만 아주 예민한 사람들은 페니실리움으로 만든 블루치즈나 흰 곰팡이 핀 연성치즈를 먹고 페니실린 쇼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치즈에는 카제인이라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위장에서 소화되는 과정에서 카소모르핀이라는 성분이 생긴다. 이것이 어느 정도 의존, 탐닉 증상을 나타나게 하여 치즈 의존증, 피자 의존증을 일으킨다고 한다. 주의할 점은, 치즈는 칼로리가 상당히 높은 음식으로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100g당 무려 402kcal이나 한다는 점이다. 우유에서 수분기가 빠진거라 크기가 작아서 자칫 본인도 모르게 많이 먹기 쉬우니 다이어트 중이라면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하자.